Network/컴퓨터 네트워크
2023. 4. 9.
6주차 정리
TCP의 상태 전이도-FSM) rdt 1.0: 만약 네트워크 계층이 신뢰도를 보장해준다면 전송 계층은 패킷을 전송 및 수신만 하면 될것이다. rdt 2.0: 정상적으로 수신 했다는 ACKs 패킷을 전송, 패킷에 에러가 있으면 NAKs 패킷 전송, 그러나 ACK와 NAK 패킷에 문제가 있을 수 도 있다. rdt 2.1: 송신측에서 패킷에 시퀀스 번호를 추가해서 전송한다. 복제된 패킷인지 아닌지 판단 가능. 복제된 패킷이면 버린다. rdt 3.0: 복잡한 패킷 에러를 처리가능, 패킷유실에 대응하기 위해서 timeout을 추가한다. timeout이 너무 길면 오버헤드는 낮지만 패킷유실에 제대로 대응이 안되고, timeout이 짧으면 오버헤드가 높지만 패킷유실에 빠르게 대응할 수 있다. 참고: https://d..